대학교

지리학과

추천수

커리어넷 학과계열 > 자연계열

  • 취업률 > 60 % 이상
  • 졸업 후 첫 직장 임금 > 월 225.7

최종수정일2020-12-02

학과개요

  • 지리학은 인간의 생활공간인 지표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간의 활동 무대가 되는 지표공간 내에서의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자연적, 인문적 현상의 지역적 분포 차이와 일반성을 연구합니다. 지리학과는 지리학의 학습을 통해서 지표 현상의 지리적 내용을 탐구하고 발전시키며 나아가 이를 사회발전과 국토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지리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학과특성

  • 현대 지리학은 공간정보를 수집, 탐색, 관리, 분석하는 지리정보시스템,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는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장하여, 현대사회에 필수적인 핵심 IT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자연과 인문, 그리고 정보과학을 포괄한다는 특수성을 지닙니다.

흥미와 적성

  • 지구의 다양한 지형과 지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 좋습니다. 실제로 지형이나 암석 관찰을 위해 탐방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여행이나 탐험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관심을 가져볼만 합니다. 최근에는 지리정보시스템 분야의 응용도 많기 때문에 컴퓨터 활용, 수리적 능력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관련 고교 교과목

  • 공통과목사회, 생활ㆍ교양
  • 일반선택과목사회교과 : 한국지리, 세계지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생활ㆍ교양교과 : 심리학, 환경
  • 진로선택과목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 전문교과Ⅰ지역 이해, 세계 문제와 미래 사회, 현대 세계의 변화, 사회 탐구 방법 및 사회과제 연구
  • 전문교과Ⅱ공간정보융합서비스, 빅데이터 분석, 인간과 환경, 환경 보전, 해양 환경과 자원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보인다 시리즈 5.0 - 전공ㆍ적성 개발 길라잡이]

진로 탐색 활동

  • 동아리 지질 답사 참여 - 과학탐구 및 지리 관련 동아리에서 지질 답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자연환경에 직접 방문하여 광물, 지형, 암석 등을 관찰해볼 수 있습니다.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이용(국토부 홈페이지) -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제주세계자연 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의 용암동굴을 체험해보고 용암동굴의 지형과 지질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대학 주요 교과목

  • 지형학지형 형성 요인 및 작용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동시에 지형을 관찰하고 해석하기 위한 지식을 배웁니다.
  • 한국지역연구우리나라의 자연현상과 인문현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지형, 기후, 식생, 농업, 공업, 상업, 교통, 취락, 인구, 문화 등의 각 지역별 특성을 분석, 고찰하는 법을 배웁니다.
  • 경제지리학경제 현상의 분포, 공장 등의 입지(立地), 물자나 인구(人口)의 지역 간 이동, 산업의 지역적 분화(分化) 등을 배웁니다.
  • 세계지역연구세계 각 지역에 대한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의 차이성 및 유사성을 야기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세계를 지역성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지역에 대해 배웁니다.
  • 지리정보시스템토지, 지리, 지질, 지형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들 특성에 따른 공간적 위치에 맞추어 자료를 입력, 저장, 분석, 처리하여 국토 및 지역 개발 계획, 환경 보존 등 여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기법 등을 학습합니다.

관련 자격

  • 정보처리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관련 직업

졸업 후 진출 분야

  • 기업 및 산업체GIS 관련 회사
  • 학계 및 연구기관중ㆍ고등학교 및 대학, 국토연구원 및 지방자치단체 산하 연구기관, 교통개발연구원
  • 정부 및 공공기관국립지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교통ㆍ국토 관련 공공기관

관련 동영상

세부관련학과

  • 위치정보시스템학과,지리학과,지리학과(자연계열)

목록보기

최종수정일2023-10-23

개설대학

지역, 대학명, 학과명으로 이루어진 개설대학 리스트
지역 대학명 학과명
서울특별시 건국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서울특별시 경희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자연계열)
서울특별시 상명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서울특별시 서울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서울특별시 성신여자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부산광역시 신라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대구광역시 경북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충청남도 공주대학교(제1캠퍼스) 지리학과
경상북도 경북대학교(제3캠퍼스) 위치정보시스템학과

목록보기

최종수정일2023-10-04

학과전망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2023), 지구ㆍ지리학]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2023), 지구ㆍ지리학]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2021), 지구ㆍ지리학]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2021), 지구ㆍ지리학]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20), 지구ㆍ지리학]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20), 지구ㆍ지리학]

※ 첫직장임금(월) - 평균값 225.7 만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20), 지구ㆍ지리학]

목록보기

장윤득

지구지리학과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장윤득 교수

궁금해요
교수님께서 이 학과(전공)를 선택하시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습니까?
장윤득 장윤득
고등학교 때 지구과학을 많이 좋아했었어요. 지구과학 쪽에서 지구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하고 이런 부분에 제가 관심이 많았어요. 지구과학 분야 쪽에 지질학 분야, 천문학 분야, 해양학 분야 이렇게 있는데 그때는 지질학이라는 내용을 잘 몰랐습니다. 그렇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 관심이 좀 있었어요. 그러다가 예비고사인가 그것을 보고 선생님이 그 분야가 괜찮다고 추천을 해 주시더라고요. 네가 생각하는 것이 이 과다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지구과학과는 들어본 바가 있어도 지질학과는 몰랐는데 선생님께서 제가 생각하는 것이 그 과라고 말씀하시고 그쪽으로 가라고 하시고 와 보니까 제가 원하던 과더라고요.
궁금해요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이 학과에 입학을 하면 좋은가요?
장윤득 장윤득
이 학과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파트로 크게 나눠집니다. 순수 과학적인 분야하고 응용한 분야하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순수과학 쪽으로 말하면 지구가 어떻게 생겼고 왜 이렇게 산이 있고 이런 것이 있잖습니까? 이런 순수한 것이라든지 아니면 고생물학 같은 거 있죠. 공룡 쪽 아니면 지진이 왜 생길까 이런 거 있지 않습니까? 그런 순수과학적인 관심이 있는 학생이 오거나 아니면 응용한 부분이 우리 과에 많이 있습니다. 광물 자원, 석유자원, 가스자원, 지하수 자원 이런 부분들을 여기 지질학과에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내가 석유자원 개발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아니면 광물자원을 개발하고 싶다 라든지 아니면 지하수 분야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싶다 라든지 그런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이쪽으로 오면 상당히 좋습니다.
궁금해요
이 학과에서 입학하면 가장 중요한 공부는 어떤 내용인가요?
장윤득 장윤득
기본적으로 기초과학이자 응용과학이기 때문에 기초과학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 수학이라든지 그런 것들을 해야 될 것이고 또 이 과 자체가 글로벌한 부분이 많습니다. 자원 쪽이 외국 쪽으로 가 있으니까요. 그래서 영어를 많이 해 놓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자기가 좋아하느냐 이것이 중요한 것이지 나머지 부분들은 들어와서 해도 충분합니다.
궁금해요
이 학과에서 공부를 잘하려면 중고등학교 때 특히 어떤 교과목을 공부하면 좋을까요?
장윤득 장윤득
지구과학, 그리고 과학 중 물리나 화학에 관심이 있으면 좋고, 수학 정도. 그리고 영어는 기본적인 것이고요.
궁금해요
이 학과의 장점을 말씀해 주세요.
장윤득 장윤득
장점은 제가 아까도 말씀 드렸다시피 기초과학하고 응용과학이 이 학과는 같이 있어요. 그래서 자기가 원하는 데에서 기초를 계속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학자나 연구자의 길로 갈 수가 있습니다. 화산이 왜 터질까 아니면 지진이 왜 날까 아니면 공룡이 왜 멸종했을까 그런 것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순수한 기초 연구 쪽이니까 그렇게 계속 공부해서 지질자원 연구원이라든지 이런 쪽의 자체 연구원, 국가에서 만든 연구원으로 분류돼서 교수와 같은 연구와 관련된 직종으로 갈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응용 분야인데 암석 속에 모든 자원이 들어 있으니까 석유 자원, 가스 자원, 광물 자원, 우리나라 태반의 광물이 다 수입해서 들어오거든요. 그런 자원 분야 그리고 지하수 분야 이런 부분들에 많이 갈 수 있고 또 토목 건설 쪽에서 많이 하는 대형 토목 건설에서는 암반을 다루게 됩니다. 그래서 암반을 다루려면 지질을 전공한 사람이 들어갈 수 밖에 없어요.
궁금해요
학과에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어떤 점이 있나요?
장윤득 장윤득
가장 큰 어려움 중에 하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풍토가 그렇지만 학과에 대해서 잘 모르고 오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지질학과가 있는지를 잘 모르고 왔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의 태반이 입시 때 되면 성적에 맞춰서 많이 옵니다. 그 이전에 학과나 진로 교육이 우리나라에서 충분하지 못하잖아요. 그래서 성적에 맞춰서 오다 보니까 학생들이 여기에 대해서 흥미를 빨리 못 찾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자기가 이게 내가 진짜 하고 싶은 것인지 여기에 대한 갈등을 하다가 세월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자기가 막상 느꼈을 때는 세월이 너무 많이 지나가 버렸고 그렇게 해서 성공을 못한 학생들을 많이 봤어요. 만약에 내가 조금 좋아하거나 아니면 별 생각 없이 왔더라도 들어왔으니까 굉장히 적극적으로 하면 그런 학생들은 성공적인 삶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궁금해요
학과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진출하는 직업분야는 어느 곳인가요?
장윤득 장윤득
전통적으로 역사를 연계해서 말씀을 드리면 해방 후에 박정희 시대까지는 국가 발전 때문에 굉장히 많은 자원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연탄을 포함해서 자원에 굉장히 많이 투자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졸업생들이 대부분 그쪽으로 직장에 아주 쉽게 들어갔죠. 탄광이나 탄전 아니면 광산 분야라든지 거의 자기가 원하면 어디든지 갈 수 있었죠. 석탄공사라든지 그쪽으로 많이 갔었습니다. 그러다가 이제 우리나라 자원이 캐는 것보다는 수입하는 것이 더 싸질 때가 왔습니다. 전두환 시기 그때부터는 우리 나라가 광산을 안 하고 국토 개발 쪽을 굉장히 많이 하지 않았습니까? 고속도로, 항만, 지하수 개발 그쪽으로 많이 갔습니다. 그래서 농어촌 공사, 각종 지하수 개발 회사, 토목 회사에 터널이라든지 그런 곳을 담당하는 쪽으로 많이 갔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오일 쇼크도 겪었고 해외 자원 쪽으로 지금은 많이 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일이나 가스 아니면 모든 전 분야의 광물 자원들 있죠. 그런 부분들을 많이 수입해야 되기 때문에 광물 자원공사를 비롯해서 각 대기업들이 자원 파트가 다 있습니다. 한화, 현대, 대우, 다 있으니까 그쪽으로 학생들이 지금 굉장히 많이 진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지금 학생들이 들어온다면 주로 자원분야에서 에너지 자원 아니면 광물 자원 쪽으로 많이 가고 나머지 부분들도 가기는 하지만 옛날에 비해서는 상당히 소수다 그렇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궁금해요
학과의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하다고 보십니까?
장윤득 장윤득
우리 학과가 전국에 13개 밖에 없습니다. 학과가 굉장히 적습니다. 뽑는 수도 많지 않지만 학과가 적습니다. 그리고 특성이 무엇인가 하면 다른 인문 분야 예를 들어서 사회학과다 그러면 사회학과가 시험을 칠 수 있는 분야의 직종은 국문학과도 칠 수 있고 경제학과도 칠 수 있고 다 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경쟁이 넓습니다. 그런데 지질학 분야는 13개 학과 외에는 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경쟁의 폭이 굉장히 좁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학생들이 자기가 진짜 열심히 하면 경쟁의 폭이 상대적으로 굉장히 다른 데에 비해서 낮고 예를 들어서 가스 공사를 시험 쳐서 들어가면 인문 쪽의 학생들의 토익을 보면 거의 990입니다. 970, 980 이렇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800대 중반만 되면 됩니다. 그만큼 차이가 난다는 거죠. 그만큼 상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똑같은 노력을 했을 때 자기가 인문대에 가는 것보다는 훨씬 더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죠. 그리고 학생들이 열심히만 한다면 공사 같은 그런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종들 있죠. 저희들이 공사가 많아요. 순수 우리 광물 자원공사라든지 석유공사라든지 가스공사라든지 농어촌 공사, 수자원 공사 이런 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데가 많고 그 직렬에 지질 분야 같은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칠 수가 없기 때문에 결과론적으로 조금만 하면은 좋은 데에 갈 수 있다고 보시면 되죠.
궁금해요
지금은 없지만 앞으로 새로 생기게 될 직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혹은 최근에 새롭게 생겨난 직업들이 있습니까?
장윤득 장윤득
과거에는 자원을 우리가 수입을 그냥 해 왔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이제 자원을 우리가 직접 가서 평가하고 중간에 거래도 하고 하는 그런 분야에 메이저 회사들이 필요하거든요. 그런 데에 스페셜리스트가 필요하고, 광물에 대해서 알아서 자기가 중간에 개입 할 수 있으니까 그런 분야가 국제적으로 앞으로 뜰 것 같고 또 순수 과학 쪽으로는 우리가 우주 시대에 가게 되기 때문에 우주 쪽에 관련된 천문 지질 못 들어 보셨죠?
궁금해요
못 들어 본 것 같아요.
장윤득 장윤득
아폴로 프로젝트에 목적이 뭐냐 하면 달에 있는 돌을 따 오는 거거든요. 따와서 달의 성질을 밝히는 것이거든요. 지구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 연구하는 돌을 따 오는 데는 많은 돈이 들지만 따 온 돌의 궁극적인 목적을 연구하는 사람이 지질학자들입니다. 그래서 나사에서도 천문 혹은 우주 지질학자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나로호 센터에도 있고 그런 부분들이 애들한테 호기심을 줄 수 있는, 새롭게 개척되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궁금해요
이 학과를 전공하려는 학생이 진학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할 내용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장윤득 장윤득
특별한 것은 없고 내가 이 분야에서 할 일에 대해서 아는 것, 그래서 거기에 내가 관심이 있다 나는 순수 과학 쪽으로 공룡이라든지 화산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다 아니면 나는 석유나 광물 자원 쪽으로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라든지 그렇게 해서 그 분야에 대한 영화라든지 자료들을 좀 찾아보는 것, 거기에 바탕이 되는 지구과학 과목, 물리 화학 공부를 하는 것, 그 외에는 특별히 준비할 것은 없습니다.
궁금해요
이 학과를 지망하는 중고등학생들에게 마지막으로 한마디 해 주세요.
장윤득 장윤득
자기가 순수 지구에 대한 연구 예를 들면 화산, 지진, 화석 이런 데에 대해서 관심이 있거나 아니면 지구의 자원 문제, 환경 문제 이런 쪽에 관심이 있는 학생 같으면 이것을 한 번 해 볼만 합니다. 상대적으로 블루오션에 가까워 남들과 경쟁도 적고 내 노력에 비해서 성과가 큰 분야니까 학생들이 한 번 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궁금해요
감사합니다.

목록보기

학과 선호 회원 특성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로 추가하거나 검색해 본 회원들을 토대로 선호 회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합니다.

지리학과을/를 선호하는 회원들의 성별 비율은?

지리학과을/를 많이 본 회원들의 성별 비율
  • 남자58%
  • 여자42%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에 등록한 회원들의 성별 비율
  • 남자0%
  • 여자0%

지리학과을/를 선호하는 회원들의 학교급별 비율은?

지리학과을/를 많이 본 회원들의 학교급별 비율
  • 중학생(14~16세 청소년)26.8%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73.2%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로 등록한 회원들의 학교급별 비율
  • 중학생(14~16세 청소년)0%
  •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0%

지리학과을/를 선호하는 중학생 회원들의 적성유형은?

지리학과을/를 많이 본 회원들의 적성유형
  • 신체·운동능력
  • 공간지각력
  • 언어능력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로 등록한 회원(적성유형) 정보가 없습니다.

지리학과을/를 선호하는 고등학생 회원들의 적성유형은?

지리학과을/를 많이 본 회원들의 적성유형
  • 신체·운동능력
  • 공간지각력
  • 창의력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로 등록한 회원(적성유형) 정보가 없습니다.

지리학과을/를 선호하는 회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는?

지리학과을/를 본 회원(직업가치) 정보가 없습니다.

지리학과을/를 관심학과로 등록한 회원(직업가치) 정보가 없습니다.

목록보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포켓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