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막보기

풍력발전시스템운영관리자 인터뷰

저는 한국남부발전 풍력추진단에 근무하고 있는 김철용 풍력추진 단장입니다.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우리 나라의 정책 과제이기도 한 저탄소 녹색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가장 중요한 풍력을 이용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추진단의 풍력개발과 운영 등 이런 정비를 총괄하고 있는 분야에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 일을 하기 위해서 어떠한 준비과정을 거치셨나요?
제가 40여 년 전에 한국전력공사에 입사 할 때는 전기공학을 전공했습니다. 11년 전에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면서 저도 7년 전에 이 풍력분야에 종사하게 되었습니다. 40여 년 전에 전기공학을 공부하면서 현재 풍력 업무에 접목을 해서 지금은 남한테 뒤지지 않는 풍력전문가로써 근무하고 있습니다.
갖추어야 할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이공계의 복합적인 기술을 요합니다. 전기공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IT분야, 토목 모든 분야가 복합되어 있기 때문에 풍력 업무에 종사하려면 이공계통의 다양한 기술력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아시다시피 지구 온난화 때문에 지구촌이 전쟁입니다.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7년 전에는 이 업무를 종사하면서 못 느꼈는데 돌이켜보면 선택을 잘했다고 생각하고, 또 이 지구의 환경을 살리기 위해서는 지금 과학자나 이공계통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이런 분야를 방관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지구온난화를 살리기 위해 모든 것을 바쳐야 하는데 저는 그런 것에 대해 자부심과 미래에 대한 꿈이 풍력분야에 상당히 장전해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을 하시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우리나라 정책을 저탄소 녹색 성장이라고 선언한 이후에 저희 공기업 같은 경우는 국가 정책 사업을 주도적으로 수행을 해야 하는데 이 일을 하다 보니까 환경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주민들과의 갈등이라든가 처음 새로 시작되는 프로젝트라서 일을 정상궤도까지 올리는 데까지 어려웠습니다.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세계적인 석학들이 예측한 자료가 있습니다. 지금은 자동차, 철강 산업들이 앞으로는 상당히 하향곡선을 그을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 산업들을 대체할 산업이 풍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초보단계입니다. 우리나라같이 철강, 반도체, 조선업 등 이공계통이 발달한 나라가 별로 없습니다. 저희들이 볼 때는 이런 것들이 갖춰졌기 때문에 우리는 늦었지만 지금부터 시작한다고 하면 빠른 시간에 세계적인 정상위치에 서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꿈은 반드시 이루어 진다 라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그래서 어릴 때부터 내가 뭘 해야겠다라는 목표를 세우고 부단한 노력을 한다면 이뤄진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공분야도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지금 시작한 에너지 분야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성장해온 다른 분야보다 더 성장 잠재력이 있으니 젊은 꿈나무들이 이 분야에 올인을 한다면 지구상에 우뚝 솟을 수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