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국립환경과학원에 근무하는 대기환경공학연구원 이상보입니다.
-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입니까?
- 제가 하고 있는 업무는 지금 우리나라의 쾌적한 대기질 보존을 위하여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각종 대기오염물질이나 측정 조사를 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이 일을 하기 위해서 어떠한 준비과정을 거치셨나요?
- 저는 대학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화공을 전공하고 대기환경기사 1급을 취득하였습니다.
- 갖추어야 할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이 직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학문적으로 화공이나 화학, 대기오염을 조사하는 필요한 학문이 되겠습니다. 또 하나는 강인한 체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대기오염물질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일반 평지도 필요하겠지만 우리가 산악이나 또는 사업장의 굴뚝같은 곳에 올라가서 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강인한 체력도 필요로 합니다.
-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두 가지로 요약 할 수 있겠습니다. 첫째는 저희 연구나 조사결과가 사업장에 적용되어 보다 효율적인 대기오염 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정착됐을 경우고, 또 하나는 사업장 주변에 주민들이 악취나 먼지로부터 해방되어 깨끗한 대기질을 누리고 때가 가장 보람과 행복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 일을 하시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 아무래도 대기오염을 조사를 다녀야 되기 때문에 기업에 들어가는 부분에 있어서 애로점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잘못된 사고방식으로 인한 기업에서 규제의 수단으로 나온다 라는 부분으로 적극적인 협조가 안 이루어졌을 때고, 또 하나는 측정을 했을 때 높고 위험한 곳을 올라가야 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굴뚝위로 올라가야 되는데 굴뚝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성이 따릅니다. 거기에 대해 애로점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 이 분야의 10년 후 전망은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기후변화 물질의 해결책, 온실가스 저감이라든지 방지대책, 그리고 수많은 유해한 물질로부터의 인체건강을 해결해야 될 많은 과제들이 산재돼 있기 때문에 10년 후 전망은 매우 밝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그에 걸맞은 인재 양성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 직업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청소년기의 경험이 있다면?
- 제가 대학교 다닐 때 산업시찰을 가게 되었습니다. 산업시찰 갔을 때는 공단지역하고 제가 사는 지역하고의 공기차이가 너무 많이 나기 때문에 이런 공기는 어느 정도 해결을 하고 저감을 해 줘야 된다는 그 때의 생각이 지금까지 제 위치에 오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 자연을 사랑하고 새로운 물질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연구를 할 수 있는 열정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다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