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막보기
화석연료청정화설비기술사 인터뷰
Q.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 국내 최초 도입 설비인 석탄 가스와 복합화력 발전소 실증플랜트를 건설하는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 이 일을 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 발전소는 종합 플랜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엔지니어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기계공학을 전공한다든지, 전기공학을 전공한다든지, 화학공학을 전공한다든지, 화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겠습니다. 왜냐하면 석탄 가스와 설비는 화학반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학공학을 전공한 사람들한테 잘 맞는 직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필요로 하는 능력이나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기본적으로 이것이 발전소를 건설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최초도입설비이고 대한민국에서 처음 하는 일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서 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에 대한 흡수성, 그 다음 그것을 우리의 것으로 소화할 수 있는 이해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 다음에 이것을 현실에 접목했을 때 창의적으로 해야 되기 때문에 창의력이 발휘된다고 하겠습니다.
-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석탄을 청정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도입하는 기술이고 이것을 국내에 최초로 도입을 해서 적용하고자 하는데 매력을 느끼고 있습니다.
- 일을 하시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 석탄가스화기술은 외국에서 도입하는 기술입니다. 그 기술은 특허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저는 최초로 기술을 도입하기 때문에 원천기술을 뽑아내기 위해서 상당히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특허를 보호하려고 가극적 기술을 공개를 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좀 애로사항이고 아울러 그 기술협상이나 기술검토회의를 영어로 해야 된다는 데 애로가 있습니다. 그래서 외국어 실력이 좀 요구된다고 하겠습니다.
-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 10년 후의 전망이라면 석유의 대체품을 석탄을 통해서 다 생산해 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석탄가스화 기술을 활용한다고 함은 거기서 대체 천연가스도 만들어 낼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석유도 뽑아낼 수가 있고 그 다음에 수소경제시대에 대비해서 수소를 생산해 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 활용성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상당히 유망한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이산화탄소를 포집을 해야 된다고 함은 이 기술을 이용하게 되면 상당히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그래서 이 기술은 향후 10년, 20년 내에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 이 직업은 10년 후, 20년 후 국가의 미래,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자원을 청정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의 포집을 쉽게 할 수 있는 기술이고 해서 향후 시장성장 잠재력은, 시장 폭발력은 엄청 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창의력이 풍부한 학생들이 이런 분야에 종사를 해서 대한민국의 10년 후, 20년 후 먹거리를 창출하는데 발을 디뎠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