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신뢰성전문기업 프론티스에서 테스트 신뢰성 팀을 맡고 있는 송찬규 부장입니다.
-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 태양광열을 이용한 제품 재생하는 제품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거나 수명을 예측하거나 또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제거하는 일이며, 또는 제품에 대한 처음 개발단계에서 이 제품이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파악하고 제품의 기능에 대한 어느 정도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 될지를 파악하는 일들입니다.
- 이 일을 하기 위해서 어떠한 준비과정을 거치셨나요?
- 제가 공부할 때는 신뢰성이라는 분야가 없었기 때문에 이 공부를 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행하는 신뢰성 엔지니어 과정을 거치고 한양대학교 신뢰성전문과 과정을 거쳐서 이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 갖추어야 할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어떤 문제 상황들을 포괄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열린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사물을 수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계학, 물리화학 이런 것들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외국에 많은 사례들을 봐야 하기 때문에 외국어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들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알 수 없는 위험들을 미리 찾아서 제거하는 일들이 보람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 일을 하시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 신뢰성을 하다 보면 내가 했던 일이 바로 성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공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별한 성과가 나오기 위해선 특별한 일들이 벌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게 애로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 현재 신뢰성 엔지니어가 적기 때문에 수십 수백 배의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재 세상은 글로벌 사회로 넘어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보호받아야 하는 피해법이 강화되는 관계로 인해서 이 직업은 전망이 밝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이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청소년기의 경험이 있다면?
- 올해부터는 정부에서 신뢰성 분야를 위해서 모든 정부에서 진행하는 과제에 신뢰성 비용을 쓸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과제들이 들어올 때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경험을 쌓으면 좋겠습니다.
-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 이 일에 관심을 갖는다면 굉장히 보람찬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성 또는 신재생에너지가 사회적으로 굉장히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쪽으로 관심을 가진다면 굉장히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