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막보기

태양광제품신뢰성평가사 인터뷰

저는 신뢰성전문기업 프론티스에서 테스트 신뢰성 팀을 맡고 있는 송찬규 부장입니다.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태양광열을 이용한 제품 재생하는 제품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거나 수명을 예측하거나 또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제거하는 일이며, 또는 제품에 대한 처음 개발단계에서 이 제품이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파악하고 제품의 기능에 대한 어느 정도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 될지를 파악하는 일들입니다.
이 일을 하기 위해서 어떠한 준비과정을 거치셨나요?
제가 공부할 때는 신뢰성이라는 분야가 없었기 때문에 이 공부를 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행하는 신뢰성 엔지니어 과정을 거치고 한양대학교 신뢰성전문과 과정을 거쳐서 이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갖추어야 할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어떤 문제 상황들을 포괄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열린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사물을 수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계학, 물리화학 이런 것들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외국에 많은 사례들을 봐야 하기 때문에 외국어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들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알 수 없는 위험들을 미리 찾아서 제거하는 일들이 보람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일을 하시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신뢰성을 하다 보면 내가 했던 일이 바로 성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공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별한 성과가 나오기 위해선 특별한 일들이 벌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게 애로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현재 신뢰성 엔지니어가 적기 때문에 수십 수백 배의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재 세상은 글로벌 사회로 넘어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보호받아야 하는 피해법이 강화되는 관계로 인해서 이 직업은 전망이 밝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청소년기의 경험이 있다면?
올해부터는 정부에서 신뢰성 분야를 위해서 모든 정부에서 진행하는 과제에 신뢰성 비용을 쓸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과제들이 들어올 때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경험을 쌓으면 좋겠습니다.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이 일에 관심을 갖는다면 굉장히 보람찬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신뢰성 또는 신재생에너지가 사회적으로 굉장히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쪽으로 관심을 가진다면 굉장히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