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동영상>진로동영상

[기술가정] 하고 싶은 직업과 신생 직업

[기술가정] 하고 싶은 직업과 신생 직업

프로그램명

893

재생시간 23분 54초

조회수 15483

[CG]

기술가정

하고 싶은 직업 및 직업발명

신석철 선생님

신생직업 및 이색직업 50선(소개)

“나도 만들어 보자! 무엇을 직업을?”

[Video]

선생님: 지난 시간에 우리가 한 것이 몇 가지가 있었냐면, 2가지가 있었죠? 폭탄주 제조기에 대해서 얘기했구요. 두 번째는 지식재산권에 대해서 얘길 했어요. 지식 재산권에는 모두 몇 가지가 있었냐면 3가지 있었는데 그 중에서 두 가지만 얘기할게요. 첫 번째는 내가 어떠한 기술적인 문제와 창의적이 있는 것이 산업재산권이 있었고, 그 다음에 두 번째는 저작권이 있었어요. 산업재산권에는 4가지가 있었고 저작권에는 2가지가 있어요. 산업재산권에는 어떠한 특허나, 실용신안이나, 비자 일이나 상표에 대해서 얘기를 했지요. 그거에 대한 거와 저작권이 차이는 뭐냐 하면 어떠한 문제에서 무엇을 발생했을 때 너한테 무슨 권리를 줘야죠? 내가 발명을 했는데 남이 쓰고 있어요, 그러면 안되겠죠? 어떠한 국가에서 여러분에게 권리를 줘야 해요. 이 권리가 산업재산권인데, 여기에서는 어떠한 물건형태가 되겠죠. 완전히 눈에 띄는 물건형태가 되고, 밑에 있는 것은 달라요. 산업재산권의 4가지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품권. 저작권엔 2가지가 있었어요. 저작권과 저작인접권. 기억나십니까? 제가 활동자료를 2개를 드리겠어요. 첫 번째는 활동자료 이것을 드리겠고요, 두 번째 있는 것은 이걸 드리겠습니다. OH필름을 나중에 설명이 끝난 다음에 생각을 해서 오늘은 직업을 내가 갖자 이거보다는 이상한 직업도 많다, 야 대단히 많구나, 이것과 사이트를 소개해주고 직업을 찾을 수 있는 책을 소개해 줄 거예요. 만약에 지금 직업을 가져라 이러면 1학년에서 기억이 아무것도 없어요. 그리고 큰걸 애기해요. 뭐하고 싶으세요? 공무원이요. 공무원도 수없이 많고 세분화 되어있는데 그 세분화 되어있는 것을 찾아봐야 될 거예요. 소개차원에서 기술과 발명차원에서 연결시킬 것입니다. 맨 앞사람 좀 나와주세요. 나눠주세요. OH필름만 책상 위에 잘 놓으세요. 맨 위에 학번과 이름을 써주세요.

(CG: 학습목표

불평한 사항이 있습니까? 그러면 만들어보세요.

어떻게 하면 됩니까? 왜? 라는 발상의 전환을 하시면 됩니다.)

선생님: 오늘 수업의 목표를 얘기할게요. 우리가 발명이라는 걸 할 때 어떤 물건에 대해서 아무렇지도 않아요. 불편한 사항이 없어요. 아이디어도 없어요. 그러면 끝이죠? 전에 폭탄주 제조기를 제조한 사람이 어떠한 불편한 사항이 있으니까 한 거 아니에요? 만약에 학습목표를 봤을 때 불편한 상황이 있습니까? 라고 물어봤는데 만약에 저는 없습니다. 이러면 학습목표가 안되겠죠? 불편한 사항이 있어야 될 거 아니에요? 어떻게 하면 됩니까? 라고 얘기했을 때 만들고 되면 생각하면 되죠? 머릿속에 생각이 정리가 안 돼도 좋습니다. 나 혼자 머리가 안 된다, 그럼 친구끼리 합의를 해서 ‘야 이거 생각 좀 해보자.’ 라고 얘길 하면 브레인 스토밍이 되는 겁니다. 모든 현대에서는 어떠한 직업도 좋고, 공부도 좋고, 조별과 모둠으로 할 때 해결이 훨씬 잘 돼요. 나한테 부족한 것이 상대에게서 나오니까 배우기가 쉽다 이거죠. 오늘은 개별적으로 들어가고 다음시간에는 조별로 묶을 거예요.

(CG: 지난 시간 정리

1. 새로운 물건 또는 방법을 처음으로 발명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권리

2. 이미 사용되고 있는 제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양이나 구조 등을 개량한 권리

3. 디자인은 다른 사람에 의해 모방되기 쉽기 때문에 모방으로부터 발명자를 보호하기 위한 권리

4. 제품을 구별하기 위해 붙이는 기호나 문자 또는 도형과 같은 상표를 등록한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권리

5. 창작물을 만든 이(제작자)가 자기 저작물을 통제하고, 그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권리

6. 저작권에 인접한 저작권과 유사한 권리로 저작물의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 등이 소유하는 권리

7.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또는 상표에 관해 특허청 또는 법원에 대해 하여야 할 사항의 대리 및 그 사항에 관한 감정 기타의 사무 업무를 행하는 사람. 행정처분(특허, 특허청의 행정처분)에 관한 소송에서 본인을 대리하는 직업 )

선생님: 학습목표를 보았고, 이제 지난주를 봅니다. 굉장히 많죠? 7가지 입니다. 7번만 빼고 맨 위에 보기를 보세요. 활동자료 맨 위에 여섯 가지 있죠? 답을 한번 써보세요. 1번 답 모르시는 분 손들어 보세요. 1번 답은 특허권입니다. 특허권은 20년의 기간을 줍니다. 7번 몰라요? 7번의 정답은 변리사. 각자 자기자신이 채점하세요. 답 불러드리겠습니다. 1번 특허권, 2번 실용신안권, 3번 디자인권, 4번 상표권, 5번 저작권, 6번 저작인접권.

(CG: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에서 발췌

한국직업사전에서 본 신생 및 이색직업

오늘의 수업

- 신생직업 및 이색직업 50선(소개)

- 나도 만들어보자.

- 무엇을 직업을?

선생님: 오늘 수업의 제목은 한국 직업 사전에서 본 신생과 이색직업이에요. 신생직업과 이색직업 50선이 있고요. 신생직업과 이색직업이 어떠한 회사에서 어떠한 기관에서 계속 만들어줍니다. 이것을 책으로 보내주거든요. 그 책을 제가 한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여기에 책을 3개를 갖고 왔어요. 거의 매년 만들어져요. 신생 및 이색직업 해서 중앙고용정보원에서 만든 거예요. 그리고 직업 2009년도에는 신생 및 이색직업,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거죠. 신생직업은 어떠한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요. 아주 세분화 되고요. 만약에 공무원이 되고 싶다 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거기에는 교육공무원도 있고 외무 공무원도 있고 각자가 세분화 되어 있어요. 우리아버지 회사 다녀요. 어떠한 일을 하시느냐는 굉장히 세분화 되어있죠? 그것에 관한 거예요. 진로 상담부에 가면 여러분이 언제든지 볼 수 잇는 겁니다. 직업이 어떠한 형태의 직업인지 모르겠어요 라고 얘기하면 또 책이 하나 큰 게 나옵니다. 직업 전망이라고 있습니다. 너무 두꺼워요. 그래도 이것이 매년 나오고 있어요. 그러면 이색직업이나 신생직업이 어떤 것이 있나를 한번 지금부터 보겠구요. 5구역으로 나눌 거예요.

(CG: 웰빙 및 여가분야

1. 다이어트 프로그래머(Diet Programmer), 2. 바리스타(Barista), 3. 아로마 테라피스트(Aroma Therapist), 4. 파티 플래너(Party Planner), 5. 푸드스타일리스트(Food Stylist), 6. 브루마스터(Master Brew), 7. 애견옷디자이너, 8. 애견트레이너, 9. 아트 컨설턴트(Art Consultant) )

선생님: 처음은 웰빙 및 여가 분야입니다. 이러한 직업이 있어요. 그런데 이 직업이 뭐하는 직업일까요? 프린트를 보실래요? 8중에서 이거 나하고 적성에 맞는다. 라고 생각하는 거 동그라미 쳐주세요. 나 이거 꼭 직업 가질래요 가 아니고 나하고 적성이 맞는다. 그거에 대한 뜻은 옆에 기록 되 있으니까 보면서 줄을 쳐보세요. 아홉 가지 중에서. 바리스타라는 것은 커피를 제조하는 사람이에요. 저는 조금 크게 놀아요, 저는 술을 좋아해요, 그럼 브루마스터. 맥주 제조하는 공장에 가면 맥주 많이 마실 수 있죠? 두 번째 있는 거 한번 볼게요. 문화 및 예술분야입니다. 자기자신이 내성격하고 조금 맞는다고 생각하는 거 동그라미만 쳐주시면 되세요.

(CG: 경영, 방송 및 이벤트

1. 커리어코치(Career coach), 2. 미스터리사퍼(Mistery Shopper), 3.네이미스트(Namist), 4. 게임프로듀서(Game Producer), 5. 게임자키(Game Jockey), 6. 비디오저널리스트(Video Journalist), 7. 비디오자키(Video Jockey)(일명 VJ), 8. 특수분장사, 9. 이미지컨설턴트(Image Consultant), 10. 전시기획자, 11.커플매니저(Couple Manager), 12. 웨딩플래너(Wedding Planner) )

선생님: 세 번째 경영 및 방송 이벤트 분야. 여기서도 골라보세요. 그냥 고르라는 거예요. 이러한 직업들이 있구나 하는 것을 소개하는 차원이에요. 전부다 영어로 쓰여있어요. 앞으로의 신생직업은 다 영어로 표시해야 되는구나. 이것도 생각해볼 만 하죠?

(CG: 의료 및 복지

1. 놀이치료사, 2. 노인전문간호사, 3. 미술치료사, 4. 병원코디네이터, 5. 음악치료사, 6. 장기이식코디네이터, 7. 독서치료사, 8. 베이비시터-실버시터, 9. 원예치료사

선생님: 4번째 이거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느 학생이 저한테 묻더라구요. 여기 있는 사람들은 돈을 많이 벌어요? 돈 못 벌어요. 여기 있는 사람은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마음이 굉장히 따뜻한 사람, 배려가 많은 사람들. 우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 같은 여기에 가면 좋겠죠. 한 명 한 명 치료할 때 마다 희망이 보이고 결과가 굉장히 좋으면 굉장히 뿌듯함을 느끼는 직업이죠.

(CG: 이색 직업

1. 거짓말탐지검사관, 2. 도청탐지전문가, 3. 사이처(Cycher), 4. 도선사, 5. 쇼다이버(Show diver), 6. 아쿠아리스트(Aquarist), 7. 장제사, 8. 테크니컬라이터(Technical writer), 9. 해외여행기획자, 10. 회원권딜러, 11. 속옷디자이너 )

선생님: 이와 같은 이색직업이나 신생직업이 아까 얘기했듯이 여러분의 앞으로 2020년도를 예상한다고 하면, 즉 10년 뒤를 예상한다고 하면 현재 추세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된다고 했죠? 진로 희망 적어본 적 있을 거예요. 대부분 학생들이 끝에 ‘사’ 자가 들어가는 것을 적어요. 의사, 판사, 변호사. 하지만 3학년쯤 올라가면 점점 나의 적성에 맞는 직업이 정해져요. 나는 초등학교 선생님, 이렇게 정해지는 거예요. 이제는 중학교에 가면 수학선생님, 이렇게 정해지는 거예요. 꿈이 낮아지는 게 아니고 현실화되면서 찾아가는 거죠. 그러면 세가지만 얘기해볼게요. 머리 속에 생각해보세요. 첫 번째 너희들이 지금 현재 가지고 싶은 직업이 뭔가를 찾아보는 거에요. 두 번째는 그 가지고 싶은 직업을 가지려면 지금 어떻게 나가야 되는지. 세 번째는 2020년도에 어떠한 직업이 생길 것인지 예상해보기. 그리고 그 밑에다가 이유가 뭔지.

(CG: 2. 본인은 무슨 일(직업)을 하고 싶은가요?

①( )

②그 직업을 가지려면 지금 무엇을 해야 되나요? )

선생님: 지금 너희들이 가지고 싶은 진로희망의 직업이 뭔가. 또 이유는 무엇인가? 어느 학생이 이렇게 쓸수 있겠죠. 돈을 많이 벌어요. 현실적이죠? 현실도 가미가 되야 하니까요. 사랑을 많이 줄 수 있어요도 되겠죠?

(CG: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 보자

아직까지 없던 기술이나 물건을 새로 생각하여 만들어 내는 것을 발명이라 한다. 아직까지 없던 신생직업이나 이색직업을 발명하여 발표해보자 )

선생님: 두 번째 문제는 한번 만들어보는 거예요. 다 하신 분 손들어보세요? 다 하신 분은 OH필름에 써보세요.

선생님: 이 학생은 무슨 일을 하고 싶습니까 에 소설가 이렇게 썼어요. 두 번째 그 이유는 뭡니까? 라고 했더니 국어를 열심히 해야 한다 라는 생각하는 것이 틀린 거는 아니죠? 정답이 있는 건 아니에요. 그러니깐 자신 있게 발표할 수 가 있겠죠. 2020년에 새로 나올 직업을 발명하세요에 일러스트 화가라고 썼습니다. 내가 생각하기에 있는 거 같아요. 있는 다고 해도 이 학생은 몰랐으니까 2020년도에 그 직업이 있다고 생각할 수가 있죠? 내가 신생직업을 안 했다고 해서 잘못한 것은 아니에요. 누구든지 생각의 자유로움을 가지세요.

선생님: 나와서 여기에 서 가지고 발표해봅시다. 승호가 한 것 볼게요. 승호 크게 얘기해볼래요?

(CG: 1학년 2반 한승호)

학생: 2020년에 새로 나올 직업은 홀로그램 제작자이구요. 홀로그램은 빛으로 화면 없이도 만들어내는 기술인데 홀로그램을 이용해서 3D와는 전혀 다른 그런 종류의 영화를 제작하는 그럼 사람이 생길 것 같습니다.

(CG: 1학년 2반 시정규)

학생: 미래에 제가 갖고 싶은 직업은 수학자이고, 되기 위해서는 수학의 대한 흥미가 많아야 합니다. 지금부터 10년 후에는 채소디자이너가 나올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 채소를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 내는 건데 예를 들어 호박으로 터미네이터를 만든다든지 등의 일을 하는 직업입니다.

(CG: 1학년 2반 이승희)

학생: 미래에는 얼굴을 새로 바꾸는 직업이 생길 것 같습니다.

(CG: 1학년 2반 최희수)

학생: 2020년에는 만화디자이너가 생길 것 같습니다. 지금 만화에 나오는 옷을 디자인 하는 디자이너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그 옷을 좀더 아이디어를 내서 생활에 입을 수 있을 정도로 디자인 하는 직업이 생길 것 같습니다.

선생님: 이 종이를 어떻게 할까요? 기술가정 책 맨 앞장 한 장을 넘겨보세요. 넘겨보시면 이름 쓰는데가 있습니다. 여기에 다음시간까지 붙여오길 바랍니다. 그러면 내가 책을 확인하고 직업에 대해서 물어보겠습니다. 항상 생각하고 준비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책을 덮으세요.

(CG: 직업 정리

생계를 위하여 사회성원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여 일정한 일에 지속적으로 종사하는 사회활동.

: 자신과 가족의 생계, 사람들과 상부상조, 점점 복잡하고 다양, 직업은 분화될수록 점점 미세한 점에서 보완하고 의존하는 관계, 위신과 존경 같은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것도 포함, 경제성이 없는 활동(취미, 오락활동), 자신의 행복과 사회관계 속에서의 배려)

선생님: 오늘 직업 정리해볼게요. 남학생 읽어보세요.

학생: 생계를 위하여 사회성원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여 일정한 일에 지속적으로 종사하는 사회활동.

선생님: 전에 선생님이 뭐가 될 거에요? 라고 물었더니 노숙자요. 이렇게 대답했어요. 노숙자는 생계 유지가 아니죠? 일정한 일을 하는 게 아니라서 직업이 아니에요.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사람들. 대가 없이. 이것은 사회봉사지 직업은 아니죠. 여학생들 읽어볼게요.

학생: 자신과 가족의 생계, 사람들과 상부상조, 점점 복잡하고 다양, 직업은 분화될수록 점점 미세한 점에서 보완하고 의존하는 관계, 위신과 존경 같은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것도 포함, 경제성이 없는 활동(취미, 오락활동)

선생님: 직업에 대해서 육체적인 노동을 하면 조금 낮춰보는 것이 있어요. 직급이 높아야만 존경받는다는 직업의 마인드를 어른들은 갖고 있어요. 하지만 점점 사라지고 있지요? 마지막, 직업에 대해서 가장 기쁨이 되고 행복이 될 수 있는 말. 읽어보세요.

학생: 자신의 행복과 사회관계 속에서의 배려

선생님: 네, 그런 것이 직업입니다. 직업에 대해서 항상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배려하고 내가 행복한 직업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언제까지? 계속, 중학교 내내. 그리고 고등학교 가서 점점 더 확대시키길 바랍니다. 다음시간은 조금 더 자세히 나가서 모둠별로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우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