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동영상>진로동영상

[사회] 열대우림 기후와 관련 직업

[사회] 열대우림 기후와 관련 직업

프로그램명

1043

재생시간 35분 54초

조회수 15152

[CG]

충주예성여고

848-9861~3

교과통합 수업동영상

www.yesung.org

예성여자고등학교

교과 통합 수업

과목: 사회

학년: 1학년 6반

교사: 지 선 애

일시: 2010. 5. 28

[Video]

학생: 차렷. 경례. 환영합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점심 맛있게 먹었어?

(CG: Ⅱ.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2. 기후와 인간생활 )

선생님: 오늘 어디 배울 차례냐면 대단원2. 자연환경과 인간생활에서 두 번째, 기후와 인간생활에서 파트 안에서 첫 번째 열대 우림 기후에 대해서 배울 시간입니다. 그전에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복습해볼게요. 지난 시간에는 한 지역의 기후를 결정하는 요소, 기온과 바람과 강수. 3가지 요소 중에서 마지막 강수를 배웠죠. 비가 오는 원인에 따라서 강수의 유형은 총 4가지로 나눌 수 있었어요. 첫 번째, 지구에서 적도 지방은 항상 햇빛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일조량이 풍부한 곳이죠? 땅이 뜨겁게 데워지고 공기가 가벼워지면서 대류현상이 일어나면서 오는 비가? 은영아, 무슨 강수였어?

학생: 대륙성 강수.

선생님: 대륙성 강수. 그리고 바람이 불다가 산을 만나서 오는 비가 있었죠? 다같이?

학생: 지형성 강수.

선생님: 지형성 강수. 세 번째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만날 때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나 전선이 형성되면서 오는 비가 있었죠?

학생: 전선선 강수.

선생님: 네. 그리고 마지막으로 특히 적도지방의 바다에서 뜨거운 여름의 바닷물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상승기류가 활발해지고 바람이 불어서 육지로 올라오는, 습격하는 비가 있었죠? 하영아 무슨 강수?

학생: 저기압성 강수.

선생님: 저기압성 강수. 그래서 대륙성, 지형성, 전선성, 저기압성 총 4가지에 대해서 배웠죠. 오늘은 아까 애기했듯이 기온, 강수, 바람 3가지 요소를 섞어서 3개의 각 기후에 대해서 알아볼 거에요. 오늘의 목표를 보면 다같이 읽어볼까요?

(CG: 가. 수업지도 개요 및 구조, 통합교육 목표 )

학생: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열대기후의 특징으로부터 열대지방 주민의 생활에 대해 추론할 수 있다. 환경에 변화가 생길 경우 자신의 진로 적성에 따라 진로설계를 할 수 있다.

선생님: 오늘 이 3가지에 대해서 배울 겁니다. 처음에 열대우림기후에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 특히 집의 형태와 의복에 대해서 알아본 후에 마지막으로 우리가 열대 지방으로 여행이나 이민을 갈 경우에 어떤 직업을 찾을 수 있나 알아보도록 합니다. 시작하기 전에 오늘 배울 내용과 관련된 영상 하나만 보고 갈게요.

( 동영상 )

선생님: 보니깐 어때요? 집의 모양이 특이하게 생겼죠?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집을 어떻게 지어요? 도시에 가면 고층 아파트가 많죠? 보통 집의 재료가 철근이나 시멘트. 딱딱하고 튼튼한 것으로 집을 짓죠? 그런데 화면은 집의 재료가 나무죠. 불도 잘 붙을 텐데 왜 나무로 집을 지을까? 오늘 열대 우림 기후에 특징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화면을 보도록 할게요. 지금부터는 미리 나눠준 활동지 있죠? 활동지를 보면 개별활동 칸이 있어요. 여길 보면서 선생님의 설명과 화면을 보면서 답을 작성하도록 합니다. 오늘 우리가 배워야 될 열대 우림 기후의 그래프가 있는데 그래프마다 모양이 다른 것이 보이죠? 여기서 꺾은선 그래프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학생: 기온.

선생님: 그리고 막대그래프는?

학생: 강수량

선생님: 기온과 강수량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기후가 나눠지게 되는데요. 일단 열대 우림 기후가 지구에서 어느 곳에 위치할까요? 지도에서 보라색이 열대 우림 지방입니다. 여기는 라틴아메리카예요. 라틴아메리카 중에서 아마존 강으로 유명한 브라질이에요. 아프리카의 가봉이라는 나라가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결혼하면 신혼여행 많이 가는 곳. 제주도 말고 외국. 동남아시아 중에서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들입니다. 열대 우림 기후의 위치 확인 되었죠? 열대 우림 기후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들어가 봅시다. 기후 그래프를 보니깐 1년 내내 기온이 어때요? 항상 20도 이상이에요. 우리나라는 추운 겨울, 1월이나 12월이 되면 마이너스까지 떨어지죠. 그런데 이 지역은 항상 더운 곳이에요. 막대 그래프를 봤더니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오는 곳이지? 이유는 무엇일까? 열대 지방의 위치가 어디였어요?

학생: 적도.

선생님: 적도의 특징은 햇빛이 들어올 때 어떤 곳? 지구에서 가장 햇빛을 많이 받는 곳. 아까 처음에 복습했던 것 강수의 유형 중에서 대륙성 강수가 활발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오는 곳이고 또 햇빛을 많이 받으니까 일년 내내 더울 수 밖에 없는 거겠죠. 그래서 첫 번째 특징, 일년 내내 덥고 비가 많이 온다. 또는 습기가 많은 곳이다 라고 할 수 있겠어요. 오늘 고온 다우라는 두 단어에서 열대 우림 지방의 모든 기후를 추론하게 되겠어요.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온 댔어요. 이유는 대륙성강수가 활발하다고 그랬죠. 우리나라에서 한 여름에 오후 2시쯤 되면서 갑자기 비가 막 쏟아질 때가 있죠. 소나기. 소나기가 비슷한 형태인데, 열대 우림 기후에서는 거의 매일 오후 2시쯤이 되면 비가 막 쏟아지는 거에요. 그런 비를 이 지방에서는 스콜이라고 부릅니다. 사진을 봤더니 하늘에 먹구름이 끼어 있죠? 중심에만 비가 쏟아지고 있네요. 여기만 대류현상이 활발해서 비가 쏟아지고 이 주변은 멀쩡한 거에요. 이런 비가 자주 오기 때문에 일년 내내 비가 자주 온다고 얘기할 수 있어요. 햇빛도 풍부하고 비도 많이 오네 무언가가 무럭무럭 자라겠죠?

학생: 나무.

선생님: 그렇죠. 나무가 너무 잘 자랍니다. 사진을 보세요. 세계에서 지구 협화라고 불리는 곳이 어디에요?

학생: 아마존.

선생님: 아마존에 대해서 보면 사람은 이렇게 작은데 나무는 키도 크고 빽빽하게 들어차 있죠? 아마존 강인데 주변에 뭐밖에 안보여요? 나무밖에 안보이죠. 이것은 조금 높은 고도에서 찍은 사진인데 강 주변에 나무밖에 안보이죠? 그 정도로 나무가 많이 있다는 얘기에요. 왜냐하면 특징이 햇빛도 풍부하고 비도 자주 오기 때문에 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죠. 나무도 잘 자란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있게 때문에 무슨 숲이라고 할 수 있어요? 밀림, 또는 열대 우림. 두 번째 나무가 빽빽하게 있어요. 이 지방에 사람들 무언가를 먹고 살아야겠죠? 근데 이 지방에 가며 뭐가 많이 보일까? 우리 옛날에 아마존의 눈물 볼 때 원주민이 배가 고플 때 사냥을 하거나 여자는 열매를 따먹죠. 바나나 같은 과일들을 따먹는데, 단점은 그것만 먹으면 배가 고플 수가 있어. 영양소가 부족해. 그래서 배불리 먹기 위해서는 농사를 지어야겠지.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무엇이 필요해? 땅이 있어야 해. 그런데 이 지역엔 나무가 너무 많으니까 농사를 짓기 힘들겠지? 그러면 나무를 베어버리죠. 베어버린 다음에 나무 기둥은 불을 질러서 없앤 다음에 나무의 탄 재를 비료로 삼아서 농사를 짓습니다. 이렇게 불을 지어서 짓는 농사를 화전농업이라고 해요. 화전농업과 함께 이 지방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농업이 있어요. 열대 지방하면 무엇이 유명할까요? 우리 잠을 자면 안될 때 먹는 거?

학생: 커피.

선생님: 커피를 마시죠. 커피가 열대지방에서 잘 자른 작물이에요. 너무 달콤한 거 있지?

학생: 초콜릿.

선생님: 초콜릿의 재료가 되는 카카오. 또 달콤하고 요리할 때 쓰는 하얀 가루.

학생: 설탕수수.

선생님: 설탕수수도 열대지방에서 잘 자라는 나무이고 자동차가 굴러가기 위해서 뭐가 있어야 해요?

학생: 타이어.

선생님: 타이어의 고무. 이런 작물들이 열대 지방에서 잘 자랍니다. 그런데 15세기를 전후로 해서 누군가가 라틴아메리카나 아프리카 중심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죠?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해요. 유럽인들이 너무 좋아하는 커피, 초콜릿, 설탕 같은 작물들이 풍부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인 거에요. 돈을 주지 않아도 고용할 수 있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어요. 그래서 원주민들을 노예로 삼아서 자신의 나라의 선진국의 기술을 가져와서 커다란 농장 안에서 이런 작물들을 재배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농업을 플랜테이션 농업이라고 하는 거에요. 이와 관련된 영상을 하나 보겠어요.

( 동영상 )

선생님: 보니깐 불쌍하죠? 어떻게 보면 서양인들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 브라질들의 원주민들이 많은 희생을 당한 거죠. 실제로 플랜테이션 농업이 이렇게 이루어졌습니다. 설명과 화면을 듣고 활동지 1번의 빈칸은 채워봤죠? 그러면 넘어가서 오늘의 목표 두 번째가 이 지방의 주민의 생활을 알아보는 것 이였죠? 집의 형태와 사람들이 어떤 옷을 입는지 알아봅시다. 활동지 1에서 밑에 칸 모둠활동이라고 적힌 부분입니다. 주어진 글과 밑에 있는 사진과 화면의 사진을 같이 보면서 모둠별로 얘기를 해보면서 문제 1번, 2번, 3번을 풀어봅시다. 선생님이 힌트를 주면 처음에 시작할 때 영상 하나를 봤었죠? 그때 뒤로 보이던 집이 이 왼쪽 두 개의 사진입니다. 오른쪽에 사진을 보세요. 이 사람들 무슨 인들?

학생: 흑인.

선생님: 흑인들은 주로 어디에 살아요?

학생: 아프리카.

선생님: 아프리카는 비가 많이 와요? 적게 와요? 적게 오는 건조한 곳이에요. 집의 형태를 보니깐 지붕의 모양이 다르고 창문도 다른 거 같고 재료도 여기는 흙이고, 여기는 나무인 것 같고, 여기는 땅바닥에서 많이 떨어져있죠? 왜 그럴까요? 이유가 있겠죠? 사진과 활동지를 보면서 1, 2, 3번을 채워보세요.

( 활동 )

(CG: 학생 활동지 모둠활동)

선생님: 같이 봅시다. 첫 번째를 보니깐 이 그림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열대기후 가옥의 특징은?

(CG: 열대기후의 가옥구조와 의복)

선생님: 집의 재료를 봅시다. 여기는 주로 나무로 집이 지어져 있죠? 이유가 뭘까요?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이 나무가 많다고 했죠? 밀림이라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가져와서 집을 지은 거죠. 그러면 여기 아프리카 사람들은 흙으로 집을 지었을까? 주변에 흙밖에 없는 거야. 비가 안 오니까 나무가 잘 자라지 않겠지? 환경과 관련이 있는 거에요. 지붕의 형태를 보니깐 여기는 미끄럼틀처럼 경사가 급하죠? 하지만 이쪽은 평평하죠? 이유가 뭘까요? 비와 관련이 있는 거예요. 비올 때 몸이 젖이 않기 위해서 뭘 사용해요?

학생: 우산.

선생님: 우산의 모양이 이렇게 생겼죠? 평평하게 생긴 우산 봤어요? 이렇게 되면 들고 다닐 수가 없죠? 그래서 경사의 목적은 비가 흘러내리기 위함이죠. 그래서 이 지역은 비가 많이 오기 때문에 비가 잘 흘러내리라고 경사가 가파른 거죠. 이쪽 지방은 창문이 크고 입구도 뻥 뚫려있네요. 개방적이네요. 왜냐하면 너무 더우니까. 고온다우. 더우니깐 창문도 크고 비가 많이 오니깐 지붕이 가파른 거에요. 마지막 특징. 몸체가 어때요? 땅에서 떠있죠? 왜 그럴까요? 이 집의 재료는 주로 나무였죠? 그런데 이 지역은 비가 많이 와요. 비랑 나무가 계속 만나게 되면 썩을 수가 있죠? 곰팡이가 생기고 병균들이 번식할 수 있죠. 더우면 땅에서 뜨거운 열기가 올라오겠죠. 열기가 습기를 피하고 그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바닥에서 떨어뜨려 위로 높게 짓습니다. 이것을 한자로 고상가옥이라고 합니다. 다시 정리를 하면, 이 지방은 집의 몸체가 땅에서 떨어져있는 고상가옥이고, 지붕이 가파르고 창문이 넓고 문이 개방적이다. 마지막에 영상에서 보니깐 사람들이 옷을 거의 다 벗고 있죠? 더운 지방이어서. 그래서 개방형 의복을 입습니다. 그러면 활동지 1번은 다 된 거네요. 활동지 2번 보겠습니다. 이제는 주제를 좀 바꿔서 지금까지는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과 이곳 주민들의 특징을 알아봤죠? 만약에 우리가 이 지역을 여행을 가거나 이민을 간다고 가정을 하는 거에요. 이민을 가게 되면 먹고 살아야 하니까 일자리를 찾아야겠죠? 여행을 가는 과정에서 어떤 사람들을 만나겠죠? 그런 과정에서 우리가 만날 수 잇는 직업은 무엇이고, 이민을 갔을 때 성공적으로 살기 위해서, 행복하게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어떤 직업을 찾는 게 좋을지 적어보도록 할거에요. 활동지 1번에는 열대 지방에 속하는 나라를 찾는 거에요. 여기는 지리부도 50쪽을 펴서 열대 기후에 속하는 나라를 쓴 다음에 두 번째 칸에는 이민을 간 경우에 내가 찾을 수 있는 직업과 마지막에는 여행을 가는 과정에서 만날 수 있는 직업에 대해서 써보도록 합니다. 주의 할 점은, 우리가 여행을 떠나는 지방은 열대 기후죠? 수많은 직업 중에서 열대 기후와 관련된 직업만 써봅니다.

해외여행 갔다 와 본 사람? 지연이 중국 갔다 왔었죠? 중국 갔을 때 여권 어디서 발급 받았어요? 시청에서 여권을 발급 받는 거에요. 시청을 가면 누구를 만날 수 있어요? 공무원, 시장님. 그리고 여권 받을 때 우리나라에서 나 멀쩡한 사람이에요, 도둑 아니에요, 위험한 사람 아니에요 신원조회를 해봐야 해요. 어디에 가서 할까요? 경찰청. 경찰청 가면 누구를 만나? 경찰. 지금 만나는 사람들마다 직업을 가지고 있죠? 여행을 가는 과정에서, 이민을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여러 가지 직업을 찾을 수 있는 거에요. 그 직업들을 활동지에 채워보도록 하는 거에요.

( 활동 )

(CG: 학생 활동지 모둠활동)

선생님: 3명 정도만 발표를 해보겠어요. 김성희 큰 목소리로 발표해보세요.

학생: 저는 환경보호운동가가 되고 싶습니다. 요즘 아마존, 열대 우림 등의 개발로 환경오염이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잖아요. 아마존의 눈물을 보면서 원주민들의 풍습을 제가 지켜주고 싶고요, 환경보호운동가들이 지구를 보존하기 위해 세계 이곳 저곳에서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어요. 만약에 제가 열대 우림에서 살게 된다면 꼭 환경보호운동가가 되고 싶습니다.

선생님: 브라질의 아마존이 어떻게 되고 있어요? 자꾸 파괴되고 있죠. 화전농업이나 플랜테이션 같은 대농장을 만들면서 파괴되고 있어요. 성희가 그걸 보고 가슴이 아팠던 거죠? 그래서 가서 보호를 하고 싶대요. 다음에는 준희.

학생: 제 꿈은 스튜어디스 입니다. 스튜어디스는 희생과 봉사정신이 많이 필요한 직업입니다. 스튜어디스 언니들을 보면 손님들이 민폐를 끼쳐도 항상 밝은 표정을 유지하고 공손하고 겸허한 태도를 잃지 않는 것에 감동을 받아서 스튜어디스라는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도 사람들을 대하는 것을 좋아해서 스튜어디스란 직업이 마음에 들고 훗날 흑인, 백인, 남녀노소 모두에게 친절하고 봉사정신이 투철한 스튜어디스가 되고 싶습니다.

선생님: 선생님도 교사 생활하면서 작년이나 올해 제주도 가면서 스튜어디스 보니까 너무 예쁜 거야. 스튜어디스 하면 좋을 거 같아. 마지막 누가 해볼까요? 한나.

학생: 저는 이열치열과 열대 사람들이 매운 것을 잘 먹는 것과 우리나라의 유명한 김치를 이용한 음식점을 차리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김치찌개나 김치 볶음밥 등이 있고, 후식으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먹는 식혜, 군고구마가 만주오까랑 비슷해서 팔면 성공할 것 같습니다.

선생님: 방금 만주오까라고 했죠? 기억나세요? 지난 시간에 아마존의 눈물에서 봤는데 나왔죠. 우엉처럼 기다랗게 생겼는데 우리나라 고구마와 비슷한 거에요. 툭툭 부러뜨려서 심으면 잘 자란대요. 고구마와 비슷하기 때문에 아마존의 도시에 가서 팔면, 아마존을 떠나서 도시를 나왔던 원주민들이 고향 생각이 나서 잘 사먹을 수도 있겠네요. 혹시 더 해보고 싶은 사람? 없으며 우리가 배워야 했었던 목표들 다시 볼게요.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과 이 지방 주민들의 생활과 열대지방으로 이동했을 때 만날 수 있는 직업이나 내가 하고 싶은 직업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오늘 배운 내용들을 다시 정리해볼게요.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을 보면 첫 번째, 이 지역은 지구에서 햇빛을 가장 받는 지방이기 때문에 일조량이 풍부하죠. 그래서 일년 내내 더운 고온이었고, 햇빛을 많이 받기 때문에 땅이 뜨거워져서 대륙성 강수, 항상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대륙성강수가 발생해서 스콜현상이 자주 일어나서 비가 자주 옵니다. 그로 인해서 식물들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 나무가 빽빽한, 밀림이 우거져 있습니다. 그래서 농사를 지을 경우에는 나무를 베어내고 불을 지르는 화전농업이 이루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커피나 카카오 같은 열대 작물이 외부의 서양인들의 기술과 결합되면서 원주민들의 노동력을 이용해서 대농장이 이루어지는 플랜테이션 농업이 있었습니다. 질문 있는 사람? 다 이해했어요? 그리고 두 번째 주제에서 배웠던 것이 열대 우림 지방으로 만약에 여행을 가거나, 이민을 갈 경우에 한국을 떠나면서, 한국에서 열대지방까지 가는 과정에서, 또는 열대 지방 안에서 여행을 하는 과정에서 만날 수 있는 직업과 이민을 갔을 때 내가 행복하게 잘 살 수 있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 활동을 해봤습니다. 그러면 활동지 2번 뒷장에 넘어가면 형성평가 문제가 있죠? 문제를 보면 1,2번이 있어요. 오늘 배운 내용들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활동 )

(CG: 학생 활동지 모둠활동)

선생님: 다 풀었습니까? 답을 확인해봅시다. 1번. 열대 우림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가옥의 장점은?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고상가옥이 생겨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워서 바람이 잘 통해야 하고 비가 많이 와서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의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서 입니다. 혹시 틀린 사람은 오답풀이 칸에 보충정리 하세요. 밑에 2번 문제. 어떤 지역의 기후 그래프예요. 기온이 어때요?

학생: 높아요.

선생님: 일년 내내 더운 곳이죠. 강수량은요?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오는 곳이에요. 무슨 기후일까요?

학생: 열대 우림 기후

선생님: 그럼 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대체로 어떤 직업을 가지고 있을까요? 전통적인 직업.

학생: 카카오 제배, 커피 농사, 열대과일.

선생님: 네. 다양한 직업들이 나타나고 있는 곳이 열대 우림 지방입니다. 우리의 목표였던 열대 우림 기후의특징과 이 지방의 주민들의 생활과 마지막 이 지방에서 찾아볼 수 있는 직업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잘 이해됐어요? 그러면 다음시간에는 무엇을 배울지 알아봅시다. 사진을 보니깐 남자아이가 보이죠? 어떤 느낌이 들어요?

학생: 지저분해 보여요. 안 씻은 거 같아요.

선생님: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해요. 그런데 왜 이렇게 더러울까요?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기 위해서는 뭐가 필요해?

학생: 물.

선생님: 네, 그런데 이 지방은 물이 너무 귀한 곳이에요. 강수량이 너무 적은 곳 어디일까요?

학생: 사막.

선생님: 사막이나, 몽골 같은 스텝기후가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건조 기후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수업을 마무리 짓겠습니다.

학생: 차렷. 경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