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맞는 고등학교 결정하기>
사회과-중3
[CG]
교과통합 진로교육
중학교 3학년 사회과
상영시간 7분
중학교 3학년
내게 맞는 고등학교 결정하기
[Video]
선생님: 다음주까지 진학 희망고교를 선택해서 제출해야 되는 거 다들 알고 있지?
학생들: 네? 벌써요?
선생님: 그럼. 이제 너희들도 진로에 대해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가 된 거야.
남학생: 어떡하지? 그냥 다른 아이들처럼 일반계 고등학교에 가야 하나? 아니면 전문계 고등학교로 가서 적성을 살려야 하나? 흠~
CG)
일반계열 전문계열
교과과정 일반보통교과 전문교과
종류 일방계고, 자립형 사립고, 자율형 사립고, 개방형 자율학교 전문계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특수목적고
기타학교: 영재학교, 대안학교, 외국인학교,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커리어 닥터: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커리어 닥터예요. 그럼 지금부터 고등학교에 대해 설명해 줄게요. 우선 고등학교의 유형은 교육과정에 따라 크게 일반계열과 전문계열로 나누어져요. 일반계열 고등학교는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등 일반적인 보통 교과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고등학교로 대부분의 일반계고와 자립형 사립고, 자율형 사립고, 개방형 자율학교가 있어요. 전문계열 고등학교는 농업, 공업, 상업,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 등 전문교과를 가르치는 학교로 대부분의 전문계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특수 목적고가 있지요. 기타 학교로는 영재학교, 대안학교, 외국인학교,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등이 있어요. 각 학교의 특성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용시기와 모집단위, 전용자료, 즉 선발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각 학교별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아요.
여학생: 커리어닥터! 일반계열에서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와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차이점은 뭐예요?
CG)
자립형사립고 자율형사립고
학생선발
설립취지와 권학이념등에 따라 학생선발권과 운영에 자율권이 허용된 학교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학생 선발의 폭을 확대
수업료 정부 지원없이 학생들의 수업료로 운영. 따라서 일반학교 보다 비쌈 등록금은 일반고등학교의 약 3배
학교 민족사관 고등학교, 광양제철 고등학교, 상사 고등학교 등 6개교 2009년 처음으로 25개 학교가 지정되어 20개교가 2010년부터 운영
기타 사회적 배려 대상자(국민 기초생활 수급자 등)를 정원의 20% 선발
커리어 닥터: 자립형 사립고는 각 학교의 설립취지와 권학이념에 따라 학생선발권과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권이 허용된 학교예요. 정부로부터 학교 운영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고 학생들의 수업료로만 운영되기에 보통 일반학교보다 비싸며 학교별로 전국 단위로 학생을 선발해요. 자율형 사립고는 자립형 고등학교 장단점을 분석하여 학교운영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학생 선발의 폭을 확대하는 등의 장점을 살렸어요. 등록금은 일반 고등학교의 약 3배정도지만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정원에 20%정도 선발해요.
여학생: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각 학교가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좀더 강화시킨 학교라고 생각하면 되는 거네요. 그리고 그 특성 때문에 정부보조를 받지 않아서 수업료가 비싼거고. 그럼 자율형 사립고와 개방형 자율학교는 어떻게 다른 거예요?
CG)
개방형 자율학교
교장선생님을 공모제로 뽑아 일반 공립 고등학교에 비해 자유로운 교과과정
커리어닥터: 개방형 자율학교는 교장 선생님을 공모제로 뽑기 때문에 일반 공립고등학교에 비해 자유롭게 교과 과정을 운영할 수 있고 거기에 대한 책임도 많이 지게 되는 학교예요. 학교 운영에서 자율성은 높지만 학생 선발권은 일반 고등학교와 동일하죠.
여학생: 그렇구나. 그럼. 자율형 사립고와 전문계열에서 특수 목적고는 어떤 점이 다른 거에요?
CG)
특수목적고 자율형 사립고
교육 특성 어학영재, 과학영재 등 구각에 필요한 특수분야 영재육성을 위한 학교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살리면서 맞춤형으로 교육
교육 과정 전문교육 위주로 구성되어 교육과정상 자율성이 적음 자율적인 교육과정
커리어 닥터: 특수 목적고는 어학영재, 과학영재 등 구각에 필요한 특수분야 영재육성을 위한 학교로 전문 교육 위주로 구성되어 교육 과정상 자율성이 적어요. 반면 자율형 사립고는 자율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살리면서 맞춤형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죠.
남학생: 저도 궁금한 게 생겼어요. 전문계고, 전문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는 각각 어떻게 다른 거예요?
CG)
전문계고 전문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특성 학과단위로 학생을 선발 특정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문 기초 교육 산업체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졸업 후 해당기업에 쉽게 취업
운영방식 전체 전문계고의 35%가 전문계 특성학교로 지정되어 운영 최고의 기술명장을 육성할 목적으로 20명 내외의 소수정예 학급으로 운영
선발지역 재학한 중학교가 있는 지역이나 거주지 내 고등학교에 지원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
커리어 닥터: 아~ 전문계고는 과거 실업계고로 불렸던 학교로 주로 학과단위로 학생을 선발하고 재학한 중학교가 있는 지역이나 거주지 내 고등학교에 지원해요. 전문계 특성화고는 전문계고 특성분야에 소질과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해당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문기초교육을 특성화하여 자율적으로 실시하는 학교예요. 2009년 현재 전제 전문계고의 35%가 전문계 특성화고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어요. 마이스터고는 정식명칭이 산업수여 맞춤형 고등학교예요. 학교와 연관된 산업체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졸업 후 해당 기업에 쉽게 취업할 수 있죠. 2009년 현재 21개고가 있으며 최고의 기술명장을 육성할 목적으로 스무 명 내외의 소수 정예 학급으로 운영되며 학생 희망에 따라 기숙사 생활을 할 수 있어요. 또 전문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는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한다는 점에서 전문계고와 차이가 있죠.
여학생: 특목고인 과학고와 과학 영재학교는 뭐가 다른 거에요?
CG)
과학고 과학 영재학교
공통점 수학, 과학 분야의 우수 인재를 양성
차이점 교육방법, 운영방법
선발 광역시, 도 단위로 학생을 모집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
커리어 닥터: 두 학교는 수학, 과학분야의 우수인재를 양성한다는 점에서 같은 목적을 가진 학교지만 교육방법이나 운영면에서 차이가 있죠. 그리고 학생선발도 과학고는 광역시도 단위, 과학영재학교는 전국단위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요.
여학생: 외고와 국제고의 차이도 궁금해요.
커리어 닥터: 국제고는 국제 정치나 외교 분야에 전문가 양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어는 외국어 분야의 어학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어요.
남학생: 아~ 대상이 다르다고 생각하면 쉽구나. 그럼 대안교육 특성화학교는 뭐고, 대안학교는 또 뭐예요? 이것도 다른 건가요?
CG)
대안교육 특성화고 대안학교
공통점 체험 위주 교육 등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
차이점 정규 고등학교로 학력인정 학력을 인정받지 못함
커리어 닥터: 대안교육 특성화고는 일반계고와 달리 체험 위주 교육 등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에요. 경남 간디고 등 전국의 21개의 학교가 있어요. 대안학교는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등 체험위주, 인성위주, 개인 적성 계발 위주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게 특징이에요. 대부분의 대안학교는 학력을 인정받지 못하지만 대안교육 특성화고는 정규 고등학교예요. 즉 대안교육 특성화고는 교육과정의 운영이 일반계고와 달리 체험 위주로 운영되는 특성화된 학교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여학생: 우와~ 커리어 닥터에게 설명을 들으니깐 복잡했던 고등학교의 특징이 종류별로 정리가 되는 걸?
남학생; 응~ 이걸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의 차이를 좀 알 것 같아.
여학생: 이제 여러 종류의 학교를 비교하기도 쉬울 것 같아.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학교를 한 번 알아볼까?
커리어 닥터: 이 정보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커리어 넷에서 확인해 볼 수 있어요.
CG: 교육과학기술부 웹사이트 http://www.mest.go.kr/
커리어넷 http://www.career.go.kr
[CG]
중학교 3학년 사회과
“내게 맞는 고등학교 결정하기”
기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작: MK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