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동영상>진로동영상

[기술가정] 음식 관련 직업 찾기

[기술가정] 음식 관련 직업 찾기

프로그램명

1014

재생시간 18분 48초

조회수 12440

남주고 기술가정(강창성)

[Video]

선생님: 수업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초대와 행사상차림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알고 이와 관련된 직업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유인물이 나갔죠? 우리 가정에서 여러분들이 친구나 부모님들, 친지들이 초대하는 행사내용을 각 조별로 작성해보도록 합니다. 작성해보세요.

( 활동 )

학생: 가정에서 치루어지는 다양한 가족행사에는 생일파티, 돌잔치, 환갑, 칠순 잔치, 결혼식, 집들이, 등이 있습니다.

선생님: 네. 이번 조별 발표에는 4조가 아주 발표를 잘해서 맛있는 사탕을 선물로 주겠습니다. 수고했습니다. 가정에서 행사를 치르거나 식당이나 호텔을 통해서 초대와 행사의 상차림 내용을 우리가 간단히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은 이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이야기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식생활의 영양에 대해서 직업을 탐색해보는 영역이 수업의 내용이 되겠고 이런 성공스토리를 통해서 직업세계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해봅시다. 유인물을 보면 유명한 한국 출신의 에드워드 권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문장이 조금 길지만 OO학생이 차분하게 한번 읽어주길 바랍니다.

학생: 에드워드 권. 권영민. 버스 알 아랍 수석 총괄조리장. 두바이에 있는 버즈 알 아랍의 놀랄만한 규모 때문에 사람들은 상징적인 의미로 7성급 호텔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곳의 1일 숙박비는 750만원이며 로열스위트룸의 경우 3500만원에 이른다. 하지만 돈을 주더라도 아무에게나 요리를 해주지 않는다. 바로 이곳의 수석 총괄 조리장인 에드워드 권을 지난 1일 만나봤다. 호텔 조리학과에 입학한 그는 대학 졸업 후 서울 리츠 칼튼 호텔에서 실습을 마친 후 실습생 중 유일하게 정식직원으로 채용됐고 외국인 총 조리사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새벽에는 종로의 어학원으로 향했다. 다시금 중국 텐진 셰러턴그랜드 호텔 총괄조리장을 거쳐 세계 최고의 호텔인 버즈 알 아랍의 수석총괄 조리장이 되었다. 그는 요리사관학교를 통한 한국음식문화의 세계화를 꿈꾸고 있다. 3년 과정의 요리사관학교를 설립해 전액 장학금으로 요리사를 양성하는 학교를 계획하고 있다. 다만 한국인 학생은 외국어 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외국인 학생의 경우 한국전통음식을 이수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어에 능통한 한국인요리사가 외국으로 진출해 한국음식문화를 알리는 계기가 된다.

선생님: OO학생이 긴 문장을 아주 잘 읽어 주었습니다. 사탕을 선물로 하겠습니다. 에드워드 권의 이야기를 통해서 느낀 것이 무엇인지 유인물을 가지고 체크해 보도록 합시다.

( 활동 )

선생님: 이제 그만 적고 발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학생: 그가 추구하는 한국음식문화의 체계와 방안은 외국인이 한국식재료를 통해 한국 음식에 익숙해 지게 한 후 가장 한국적인 한국문화인 궁중음식을 찾게 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학생: 한국전통음식을 이수하게 하고 외국인 학생이 자국으로 돌아가 한국음식을 알리는 것입니다.

선생님: 외국인 학생에게 가르쳐서 우리음식이 세계로 퍼지게 하는 아주 좋은 내용인 것 같습니다. 1번에 대한 내용은 OO학생이 발표를 했습니다. 우리 문화를 교육시켜서 세계로 알려지게 하는 것하고 OO학생이 이야기 한 것처럼 전통 궁중음식을 세계로 알리자 하는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학생: 권영민의 성공요소로는 끊임없는 노력이 있습니다. 그렇게 노력하는 모습이 나와 비교가 되었고 그래서 권영민씨처럼 노력을 하고 싶습니다.

선생님: 이 학생은 권영민의 끊임 없는 노력이 성공스토리를 가져왔다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잘했어요.

학생: 저는 권영민씨가 성공 할 수 있었던 요소로 관찰력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자기가 있었던 호텔의 있는 조리장의 행동 하나하나 관찰하면서 그것을 자신의 방법으로 만들어 실행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 권영민씨의 성공요소는 열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요리의 대한 열정이 있어서 그가 버즈 알 아랍 수석총괄 조리장이 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열정에 대해서 본받아야 할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학생: 도전정신이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세계 최고의 조리장을 포기하면서 새로운 도전을 하기 때문 입니다.

선생님: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내용은?

학생: 제가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부분은 누구나 꿈꾸는 세계 최고의 요리사를 포기할 만큼 그에게는 더 큰 도전이 남아 있는 것일까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계최고의 요리사 자리를 버리고 자신의 원래 목표를 위해 나아가는 것이 존경스럽기 때문입니다.

선생님: 새로운 도전을 위한 또 하나의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모습이 감동스러웠다는 거죠.

학생: 햄버거 하나 들고 서점 문이 닫을 때까지 요리법을 쪽지에 적었다는 것입니다. 다른 날도 아닌 주말에 햄버거 하나를 먹을 만큼 배고픔도 잊은 채 도서관에서 성공을 위해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선생님: 좋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학생: 제가 가장 마음에 와 닿았던 부분은 별을 보고 출근해 별을 보고 퇴근했다는 것입니다. 그 부분이 저의 마음에 와 닿은 이유는 별을 보고 출근해 별을 보고 퇴근했다는 엄청난 끈기와 열정과 노력이 한번에 모아져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선생님: 네. 아주 잘 했습니다. 이론적으로 내가 질문을 하고 싶다 하는 내용은 4번째 있죠. 발표해봅시다.

학생: 지난 2월 돌연히 사표를 냈다고 하는데 당신에게 남은 더 큰 도전이란 무엇인가요 를 질문 하고 싶은데 그 이유는 저도 더 큰 도전을 하고 싶을 때는 많지만 두려움으로 못 했던 적이 많아서 입니다.

선생님: 더 큰 도전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에드워드 권에게 질문하고 싶다는 거죠. 잘했습니다. 또 다른 학생?

학생: 저는 권영민 씨에게 왜 수석총괄조리사를 포기 하면서 까지 한국음식을 알리고 싶었는지에 대해서 묻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세계 최고의 자리이니만큼 포기 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선생님: 포기하고 새로 도전하게 된 정신에 대해서 얘기했습니다. 에드워드 권의 성공 스토리를 통해서 직업인의 세계와 느낌을 나와 비교하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활동 )

선생님: 칠판에다가 붙여놨습니다. 나오셔서 여러분들이 작성한 것과 그림을 잘 그렸다던지 진로적성에 대한 흥미가 잘 적혀있다든지 비교해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6조 학생 한번 발표해 봅시다. OO학생 마지막으로 전시해봅시다. 슈가크래프트는 설탕을 반죽해서 여러 모양을 만들어서 생일이라든지 축하를 할 때 만드는 직업이고, OO 학생은 푸드 스타일리스트. 음식을 여러 모양으로 화려하게 만들어주는 직업이고, 그 다음 OO학생은 행사전문으로 하는 직업, 앞으로 이 직업은 전망이 있죠. 발표하느라 수고 많았습니다.

자, 지금 나눠준 유인물은 4번째 사항에 요구된 조리사 되려면 어떤 적성과 흥미 자격증 전망에 대한 이런 것들의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들이 이 시간 이후에 조리사의 내용과 방향을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행사와 상차림이란 과목에서 우리 실생활의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에드워드 권의 이야기와 내가 성공을 하려면 어떤 점이 뒤 따라야 하는지, 앞으로 조리사란 직업을 택한다면 방향과 정보를 가져야 하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조리사, 요리를 하는 직업은 주로 남자가 많습니다. 여자들은 반복되는 일을 굉장히 잘하지만 창의적인 일은 남자들이 잘 한다고 합니다. 큰 호텔의 주방장은 다 남자라고 그러죠. 창의적인 것들은 훨씬 남자들이 더 잘하는 분야라고 하죠. 창의성이 요구되고 창의성이 있으려면 바탕이 있어야 합니다. 기본기가 있어야 됩니다. 노력하는 자세 여러 가지 것들이 겸비되어서 일류로 가는 요리사가 될 것이고, 일류 요리사가 되면 연봉도 많이 받을 겁니다. 그리고 조리사, 주방장은 점점 실력이 늘면 나이가 들수록 훌륭한 주방장이 될 수 있어요. 이것과 관련해서 지난번에 배웠던 양식의 첫 번째 코스가 뭐라고 했죠. 에피타이저죠. 에피타이저가 뭐냐 하면 식사의 식욕을 돋우는 음식이 에피타이저인데 일급조리사는 에피타이저를 제일 잘 만드는 사람이 일급조리사입니다. 미각을 자극하는 이것이 일급조리사의 자격입니다. 오늘 수고했고 다음 시간에는 가족의 특성에 따라 주거공간이 달라집니다. 2인 가족, 4인가족 이렇게 가족의 특성이 변할 때 주거공간의 모습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