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동영상>진로동영상

풍력발전시스템 설치원 인터뷰

풍력발전시스템 설치원 인터뷰

프로그램명 하이에너지코리아 사무실 강석준

471

재생시간 5분 5초

조회수 4711

Q. 현재 하고 계시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풍력발전기에 대한 설계, 시공, 감리 등 풍력발전기들을 전체적으로 코디네이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Q. 이 일을 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저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전자제어라든지 기계공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한 후에 풍력발전기에 대한 기계적 이해를 구축한 이후에 이 직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Q. 필요로 하는 능력이나 자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모든 직업이 다 그렇겠지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나 자연환경이라든지 에너지 이러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훨씬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이라든지 풍력발전기의 원리를 생각하는 관심이나 이러한 관심들이 모아져 축척 됐을 때 필요한 자질은 향상될 수 있고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일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첫 번째는 청정 에너지를 구현하고 그것을 실생활에 접목될 때입니다. 가까운 예로는 우리 회사의 전기세가 절약될 때 느낍니다. 그 다음에 넓게 보아서는 지구 온난화라든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일조하고 있는 산업에 역할을 작게나마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 때마다 큰 보람도 찾고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Q. 일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떤 것인가요?

바람이 없는 날 풍력발전기를 만들고 있는데 바람이 하나도 없을 때입니다. 다음에 반대로 태풍이 온다든지 강력한 해일이 온다든지 우리 제품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고 버틸 수 있는지에 대한 걱정이 많이 앞섭니다. 그것보다 우선적인 것은 이렇게 어렵게 청정에너지를 만들어서 보급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자원을 함부로 쓰거나 버릴 때 그것이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Q. 이 직업의 10년 후 전망은 어떤가요?

10년 후가 아니라 20년 후라도 더 전망이 좋아질 겁니다. 자원이 계속 고갈되고 있고요. 고갈될수록 더 많은 풍력발전기, 더 많은 태양광 기타 등등의 신재생에너지들을 도입해야 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러한 환경 속에서 굉장히 좋은 기술들이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만들어진 풍력발전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연구개발을 통해서 신제품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는 것이 10년 후에 굉장히 좋은 전망이 있고, 20년 후에 더 좋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이 직업을 선택할 청소년들에게 한마디...

보통의 경우에 기계를 전공하거나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문과를 나온 케이스를 얘기하는데, 우리 회사에도 기계를 전공하지 않았는데 신재생에너지 쪽의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풍력산업분야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출발하는 입장이며, 사업의 초기, 시장의 초기이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문이 열려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어떻게 노력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시장의 중요한 인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