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

  • 관심 추가
  • 추천
  • 인쇄하기(PDF 다운로드)-새창
  • 3,500 만원 평균연봉
  • 보통이상 일·가정균형
  • 보통이상 사회공헌
  • 페이스북
  • 트위터
  • 추천수 14
  • 조회수 19242

최종수정일 2023-02-22

관련직업명

유선통신장비설치 및 수리원, 무선통신장비설치 및 수리원

하는일

  •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은 유선전화, 휴대폰, 무선통신기, 무선전화 등의 각종 유선이나 무선통신장비를 설치하고 수리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 유선전화, 휴대폰, 무선전화, 무선통신기 등의 송신과 수신을 이어주기 위한 설계도에 따라 통신장비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통신장비를 설비합니다.
  • 설비한 통신장비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며,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수리합니다.

핵심능력

손재능

적성 및 흥미

적성
통신장비의 설치와 수리를 위해 필요한 각종 장비를 사용하는 직업이므로 도구의 특성을 알고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손재능이 필요합니다.
흥미
대부분 야외 공사 현장이나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하는 일이 많으므로 신체적인 활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통신장비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많은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분류

표준직업분류 : 통신 관련 장비 설치 및 수리원 (세분류 7722)

고용직업분류 : 통신장비 설치ㆍ수리원 (세분류 8422)

직업탐색

진로 탐색 활동
정보통신공학과 체험 프로그램 참여 - 지역의 대학교, 진로체험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정보통신공학과 학과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의 업무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관련 진로상담
Q전자통신과졸업생입니다.자격증이나 취업진로설정을 하고싶습니다 대학생 2021-01-13
Q전자공학을 졸업 하여 갈수 있는 직업 고등학생(17~19세 청소년) 2022-10-24

준비방법

정규교육과정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이 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며, 전문대학의 전기, 전자 관련 학과를 졸업하면 취업 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직업훈련
직업훈련학교에서 전기, 전자 관련 훈련과정을 이수할 수 있으며, 취업 후, 일정 기간의 수습 기간을 통하여 해당 통신기술 분야에 관련된 업무를 익힐 수 있습니다.
관련자격증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기사 및 기술사, 정보통신산업기사가 있습니다.
입직 및 취업방법
공개 채용이나 교육기관의 소개 등을 통해 통신업체, 초고속망 설치업체, 방송사, 통신공사 전문업체 등에 채용될 수 있습니다.

관련기관

직업현황

직업전망

향후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의 관련 직업인 통신·방송 및 인터넷케이블설치 및 수리원의 일자리 규모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초고속인터넷 및 전용회선 시장의 가입자 수가 포화상태에 다다름에 따라 인력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종편채널 방송국의 설립과 케이블 TV의 채널 확대, DMB 방송 서비스, 초고속 인터넷망의 확산과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서비스의 활성화, 초고속 인터넷을 TV에 연결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IPTV의 보편화 등은 인력수요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임금수준 및 직업만족도
  • 보통 평균연봉3,500만원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의 관련 직업인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의 평균연봉(중앙값)은 3,500만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직업 평균연봉(중앙값)인 4,072만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입니다.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2021))

  • 높음 직업만족도62.3%

    통신설비설치 및 수리원의 관련 직업인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직업만족도는 62.3%입니다. (자료: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2021))

학력분포 및 전공계열
고졸: 20%, 전문대졸: 20%, 대졸: 20%, 대학원졸: 20%, 박사졸: 20%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 직업정보(2021)]

공학계열: 50%, 자연계열: 50%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 직업정보(2021)]

한국의 직업지표

[자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맞춤형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0-22)]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수행능력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95 설치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장비, 도구, 배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95 유연성 및 균형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각 부위를 구부리고 편다
92 고장의 발견·수리 오작동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한다
91 움직임 통제 신체를 사용하여 기계나 기구를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움직인다
90 장비 선정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나 장비를 결정한다
89 정교한 동작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복잡한 부품을 조립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한다
89 작동 점검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시판이나 계기판 등을 살펴본다
88 조작 및 통제 장비 혹은 시스템을 조작하고 통제한다
87 서비스 지향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87 장비의 유지 장비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하고 장비를 유지하기 위해 언제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를 안다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 직업정보(2021)]

지식중요도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지식중요도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100 통신 전화기, 네트워크, 방송 등의 통신기기를 조작하고 통제하는데 필요한 지식
96 컴퓨터와 전자공학 컴퓨터의 하드웨어, 회로판, 처리장치, 반도체, 전자장비에 관한 지식
91 기계 기계와 도구를 사용하고, 수리·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
84 고객서비스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고객의 욕구평가, 고객의 만족도 평가, 서비스 기준 설정 등)
80 안전과 보안 사람들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79 공학과 기술 다양한 물건을 만들고 설계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공학적인 원리, 기법, 장비 등을 실제로 적용시키는 지식
67 의사소통과 미디어 말, 글, 그림 등을 이메일이나 방송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것에 관한 지식
64 영업과 마케팅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촉진을 하는 것에 관한 지식(마케팅 전략, 상품의 전시와 판매기법, 영업관리 등)
59 지리 육지, 바다 그리고 하늘의 특성 및 상호관계에 관한 지식
52 물리 공기, 물, 빛, 열, 전기이론 및 자연현상에 관한 지식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 직업정보(2021)]

업무환경

중요도, 능력명, 설명으로 이루어진 업무환경 표
중요도 능력명 설명
100 고지대 작업 높은 곳에서(높은 철골구조 위, 타워 크레인 위, 혹은 고층 빌딩 위 등) 작업하는 빈도
100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 극단적으로 밝거나 혹은 부적절한 조명에 노출되는 빈도
99 위험한 상태 노출 위험한 상태(고압 전류, 가연성 물질, 폭발물, 화학물 등)에 노출되는 빈도
98 걷거나 뛰기 걷거나 뛰면서 근무하는 빈도
98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 몸을 구부리거나 비틀면서 근무하는 빈도
98 실외 근무 바깥공기에 노출되는 실외에서 근무하는 빈도
97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 매우 덥거나(섭씨 32도 이상) 매우 추운(섭씨 0도 이하) 기온에 노출되는 빈도
97 비좁은 업무 공간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비좁은 공간에 노출되는 빈도
97 움직이는 기계 움직이는 기계(자동차, 트랙터 등)에서 근무 정도
97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 경미한 화상, 자상, 혹은 찔리는 것에 노출되는 빈도

[자료 : 워크넷, 방송·통신·인터넷케이블설치·수리원 직업정보(2021)]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성별학교급 비율

성별 비율
43.9% 여자
56.1% 남자
학교급 비율
50.9% 중학생
49.1% 고등학생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직업적성검사 유형

중학생
  • 1 손재능
  • 2 손재능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고등학생
  • 1 손재능
  • 2 손재능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11가지 직업적성유형 표
직업적성유형
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 지각력 음악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 논리력 자기성찰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연 친화력 예술시각 능력
직업적성검사 하러가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