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 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김치 및 절임 식품 제조원, 가공식품개발연구원, 식품소재개발연구원, 식품공학기술자, 제면식품연구원, 발효식품연구원, 김치연구원, 레토르트식품연구원, 떡연구원
관련학과/관련자격
관련학과 |
생명과학과
, 식품가공과
, 식품공학과
, 식품영양과
, 식품영양학과
, 식품조리과
, 조리과학과
|
관련자격 |
영양사, 위생사, 식품산업기사, 식품기사, 식품기술사 |
하는일
식품공학기술자는 식품에 대한 조사, 개발, 생산 기술, 품질 관리, 포장, 가공 및 이용에 관한 업무를 한다.
식품개발을 담당하는 식품공학기술자는 자사 및 경쟁업체의 상품에 대해 식품 및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생산할 제품을 기획하고 식품의 영양, 맛, 색깔, 상품가치 등을 고려해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고, 조리방법 등을 연구한다.
식품의 각종 성분을 검사하는 식품공학기술자는 각 식품의 특성에 따라 이화학실험, 미생물실험을 통해 농약과 같은 식품의 유해성분 잔류여부, 식품첨가물의 적절성 여부 등에 있어 제품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안전검사를 실시하며, 이러한 실험·검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보고서를 작성한다.
식품공학기술자 중 식품감시원은 백화점 및 할인마트의 식품코너, 식품생산업체 등에서 판매되거나 조리되는 식품이 안전하게 소비자에게 유통되고 판매되는지를 관리하고 감독한다.
식품가공, 생산포장, 품질관리에 관한 개선된 방법과 기술을 개발하고, 생산현장에서 생산라인의 책임자를 지도하거나 제조공정을 감독하는 작업도 수행한다.
적성 및 흥미
식품공학, 발효공학, 식품미생물학 등의 이론과 개념을 이해, 응용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분석력, 통계적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수리능력 등이 요구된다.
꼼꼼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꾸준한 관찰과 끈기가 요구된다.
탐구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정직, 스트레스 감내, 신뢰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분류
커리어넷 직업분류 |
과학분야(전문직) |
표준직업분류 |
2391식품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고용직업분류 |
1571식품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