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디지털 큐레이터

  • 관심 추가
  • 추천
  • 인쇄하기(PDF 다운로드)-새창
  • 평균연봉
  • 일·가정균형
  • 사회공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추천수 13
  • 조회수 5543

최종수정일 2023-02-22

하는일

  • 디지털 큐레이터는 인터넷상에서 쏟아지는 다양한 정보 중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하고, 콘텐츠화하여 유용한 정보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등록된 다양한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고 정리하는 일을 합니다.
  • 블로그, SNS 등에 수많은 정보가 실시간으로 등록되면서 기존 정보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관련성 있는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보기 좋게 배치합니다.

핵심능력

예술시각능력 창의력

적성 및 흥미

적성
수많은 정보 중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하여 보기 좋게 배치하고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하므로 화면을 조화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예술시각능력이 필요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생각해 낼 수 있는 창의력이 필요합니다.
흥미
디지털 정보를 추천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최신 유행을 알아야 하고 문화, 예술, 언어 등 생활 전반에 대한 흥미가 있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평소 인터넷 사용에 능숙하고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이해하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분류

표준직업분류 : 기타 컴퓨터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 (세분류 2229)

고용직업분류 : 기타 컴퓨터 전문가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 (세분류 1339)

직업탐색

진로 탐색 활동
동영상 시청 - 디지털 콘텐츠, 콘텐츠 기획, 콘텐츠 제작 등 관련 영상 시청을 통해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준비방법

정규교육과정
특별히 요구되는 학력의 조건은 없지만, 인터넷정보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등의 학과를 졸업하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대학의 디지털콘텐츠학과에서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관련 지식과 기술을 배우며, 각종 콘텐츠의 기획, 연출, 운영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직업훈련
민간 훈련 기관의 소셜 큐레이터, 소셜미디어 전문가 과정을 통해 관련된 훈련과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입직 및 취업방법
소셜 큐레이션 전문 기업, 일반 기업, 공공 기관의 홍보나 마케팅을 담당하는 부서에 소셜 큐레이터, 전자 상거래 큐레이터, 맞춤형 큐레이터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웹 기획, 홍보, 마케팅, 빅데이터 분석 등을 배우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실무 경력을 쌓고 프리랜서로 독립하여 일하거나 소셜 큐레이션 기업을 창업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기관

직업현황

직업전망

향후 디지털 큐레이터의 일자리 규모는 다소 증가할 전망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나고 수많은 콘텐츠가 제공됨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일정한 고객이나 회사에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를 큐레이션 해주는 일을 하는 기업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일반기업에서도 홍보와 마케팅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에 따라 디지털 큐레이터가 더 많이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학력분포 및 전공계열
고졸: 20%, 전문대졸: 20%, 대졸: 20%, 대학원졸: 20%, 박사졸: 20%

공학계열: 50%, 자연계열: 50%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성별학교급 비율

성별 비율
73.2% 여자
26.8% 남자
학교급 비율
47.2% 중학생
52.8% 고등학생

이 직업을 본 회원의 직업적성검사 유형

중학생
  • 1 손재능
  • 2 공간지각력

이 직업을 본 중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고등학생
  • 1 언어능력
  • 2 언어능력

이 직업을 본 고등학생 회원들의 직업적성유형 1순위와 2순위입니다.

11가지 직업적성유형 표
직업적성유형
신체·운동 능력 손재능 공간 지각력 음악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수리· 논리력 자기성찰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연 친화력 예술시각 능력
직업적성검사 하러가기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공인 웹 접근성 품질인증마크